about enni
The way to spend the day meaningfully is to organize and record my day and plan for tomorrow.

한국은행 금리 유지

한은 대출 금리 동결

한은 금융 통화 위원회가 기준 금리를 연 3.5%로 고정하였습니다. 2월과 4월에 이어 세 번 연속 금리를 유지 하고 있는데, 이번에 또다시 고정을 발표하면서 통화 정책 방향 의결문 전문을 공개했하였습니다. 물가 상승곡선이 약화 흐름을 지속 하겠지만 수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관망하였으며,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다양한 성장 흐름이지만, 성장세가 점차 약화 할것으로 예상할 것이라고 공시하였습니다. 또한,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침체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상승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 곡선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현상이라고 전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경제 지수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물가 상승률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 이라고 에측 하였습니다.

대출금리

무엇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리오프닝, 즉 경제 활동 재개 흐름이 지연되고 있는 점이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중 수출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11개월째 저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달 들어서도 23% 이상 크게 둔화하였습니다. 수출이 수입보다 저조해지며 무역 적자는 14개월째 유지되고 있는데 지난 1995년 1월 ∼ 1997년 5월 이후 처음이며, 다른것보다 반도체 분야 부진이 제일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현재 미국과 중국 반도체 전쟁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 받는 중심에 서 있습니다. 미국의 선제적 조치에 중국이 마이크론 제재로 보복에 나서면서 한국 정부와 반도체 기업은 ‘대체자 역할’을 강요 받을 수 있다는 걱정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작 ‘무역 전쟁’을 벌이는 미중의 지난해 교역량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싸울 땐 싸우더라도 얻을 건 제대로 얻어야 한다는 걸 미국과 중국은 이미 알고 있는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

미 연방 준비제도(연준)가 다음달 연방 공개 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 금리를 현 5.00~5.25% 수준에서 고정할 가능성에 예측이 쏠리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격차가 현 1.75%포인트에서 더 벌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커진 것도 금리 동결에 힘이 실린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현 1.75%포인트의 격차는 역대 최대 폭이지만, 이 총재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바 있었습니다. 원·달러 환율도 지난해처럼 1400원대를 넘어서는 상승을 보이지 않는 등 지난해와 같은 환율 불안도 관망

일전의 기준 금리를 0.25%p 추가 인상한 것은 경기가 약화되고 있지만 물가가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앞으로도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고려한 해석이었습니다. 금년 성장률은 국제 경기 둔화로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방역조치 완화 이후 나타났던 펜트업 수요의 침체와 그간 금리 상승의 영향 등으로 소비 회복세도 약화되면서 당초 예상(1.7%, ‘22.11월 관망)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물가 동태를 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유류 가격 오름세 침체에도 불구하고 전기·가스요금 인상 영향과 가공 식품 가격 상승곡선 확대 등으로 지난해 12월에도 5.0%의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12월중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4.1%로 11월 4.3%보다 소폭 낮아지고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율도 11월 4.2%에서 3.8%로 위축되었지만, 두 지표 모두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다음으로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지속해 나가겠다는 향후 정책 운용 방향을 제시한 것은 물가와 함께 경기와 금융 안정 측면의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이라고 판단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비자 물가가 금년 중에도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등 현재로서는 물가 상상폭이 언제쯤 그리고 어떤 속도로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지, 아니면 재차 상승할지 속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긴축적 통화 정책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어야하는 상황입니다. 경기 상황을 보면 앞서 기술했듯이 금년 성장률이 수출 하락과 소비 회복 모멘텀 약화로 지난해보다 어느정도 낮아질 것으로 관망됩니다. 하반기로 갈수록 중국과 IT 경기 회복 등으로 상승세가 점차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 리오프닝의 전개 상황, 주요국의 경기 위축 정도 등에 따라 국내 경기 회복 속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보제공 : 이지론 (ezloan.io)